썸네일 이미지

[보도자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 화순제일​중학교 전교생 대상 의약품 공장 체험학습 성료

- 09월 04일부터 19일까지 화순제일중학교 1~3학년 전교생 471명 대상 현장 체험학습 성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 조민 센터장이 강의하는 모습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는 화순제일중학교(교장 정라원) 1~3학년 전교생 471명 대상으로 일일 의약품 공장 현장 체험학습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이번 체험학습은 백신과 GMP의 중요성, 의약품 제조 과정을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론 교육 ▲센터 GMP 제조시설 현장 투어 ▲생산 및 품질시험 실습 체험으로 구성됐다. 특히, 센터에서 다년간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수행해 온 각 분야 전문가들이 직접 강의와 실습을 진행해 교육 효과를 높였다.이번 프로그램은 전남 교육발전특구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되었으며, 학생들이 화순 바이오 클러스터 생태계를 이해하고 제약·바이오 산업 분야의 다양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실제로 일부 학생들은 현장에서 “센터에 입사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느냐”는 질문을 던지며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였다.화순제일중학교와 센터는 이번 현장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과학 동아리 활동과 제약바이오 산업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심화 커리큘럼 운영을 논의 중이다. 이를 통해 미래에 의약품 전문가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품질관리 체험학습을 진행하는 학생 사진▲ 생산 체험학습을 진행하는 학생 사진한편, 센터는 2017년 설립 이후 2020년 본관 준공과 함께 본격적으로 공공 CDMO 사업을 운영해왔다. 그동안 코로나19 백신 개발, 임상 3상용 시료 생산, mRNA 백신 제조 등 다양한 실적을 쌓아왔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2023년부터는 ‘백신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을 통해 대학과 교육기관 및 구직자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다.2025년 7월에 광주·전남권 최대 규모의 GMP 실습이 가능한 첨단 교육관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교육관에는 미생물 배양부터 정제까지 실습할 수 있는 의약품 생산 설비와 함께 이화학 분석, 미생물 시험, 환경 모니터링 등 품질관리 실습 장비가 연내 구축될 예정이다.또한 2026년까지 900명의 수료생 배출 목표를 이미 달성해 앞으로 호남권 전 지역의 의약품 전문가 양성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언론사주소전자신문https://www.etnews.com/20250922000231 약업신문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pmode=&cat=&cat2=&nid=316367 전남인터넷신문https://www.jnnews.co.kr/news/view.php?idx=413755 화순매일신문https://www.hsmaeil.co.kr/476933 전남교육통https://www.jnedu.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33 한국강사신문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7421

썸네일 이미지

[보도자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 조선대학교 대상 백신 전문교육 3주 과정 성료

- 08월 11일부터 29일까지 3주 과정 성공적으로 마무리...생산부터 품질관리까지 종합교육 운영▲ 조선대학교 김규민 교수와 수료생 16명의 사진 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는 조선대학교 의생명과학과 등 학과생 16명 대상으로 8월 11일부터 29일까지 3일간의 백신 전문교육 3주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교육과정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시행하는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을 기준으로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이론과 실습을 균형있게 구성했다. 커리큘럼은 ▲GMP 기초 교육 ▲밸리데이션 ▲의약품 배양 및 정제 ▲유틸리티(시설관리) ▲품질관리(QC) 교육 ▲VR(가상 현실) 배양 및 정제공정 실습 등으로 마련되었으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강의와 실습을 진행했다.조선대학교와 센터는 2023년부터 지속적으로 교육 커리큘럼을 운영해 오며 현재까지 80명 이상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수료생 절반 이상이 취업에 성공하여 제약바이오 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대다수가 센터에서의 교육이 도움이 됐다고 소식을 전했다.▲ 미생물실증지원센터 교육관 한편,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남도 화순군이 지원하는 ‘백신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을 통해 2025년 7월 광주·전남권 최대 규모의 GMP 실습이 가능한 첨단 교육관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다.해당 교육관에는 미생물 배양부터 정제까지 실습 가능한 50L 배양기, 고압멸균기, 연속원심분리기 등 의약품 생산 설비와 함께, HPLC, LC-MS를 활용한 이화학 분석, 미생물 시험, 환경 모니터링 등 품질관리 실습이 가능한 장비를 연내 갖출 예정이다. 2026년까지 900명 이상 배출을 목표로 하며, WHO ‘글로벌 바이오 화순 캠퍼스’ 운영에도 협력해 국내외 백신 역량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언론사주소히트뉴스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502 국제뉴스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65230 화순매일신문https://www.hsmaeil.co.kr/476838 화순뉴스https://www.hwasuntimes.com/22519 약업신문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15450 메트로신문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902500260 핀포인트뉴스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3307 민주신문https://www.iminju.net/news/articleView.html?idxno=140200 한스경제https://www.hans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3188

썸네일 이미지

[보도자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 화순고등학교와 백신 전문가 교육 성료

- 07월 30일부터 08월 01일까지 3일간 교육 성공적으로 마무리...백신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운영▲ 화순고등학교 학생이 수료하는 장면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와 화순고등학교는 3학년 학생 16명 대상으로 7월 30일부터 8월 1일까지 3일간의 백신 전문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이번 교육은 전남 화순 백신산업특구에 위치한 센터의 최신 GMP 인프라를 활용하여,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교육과정으로 구성됐다. 학생들은 실험실 이론뿐 아니라 현장 수준의 장비 실습, GMP 문서 관리 및 VR을 활용한 생산공정을 직접 경험하며 현장 감각을 익혔다.특히, 지난 5월 화순고등학교를 포함한 화순군 내 교육기관과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5개 기관이 ‘전남교육발전특구’ 운영을 위한 상호 협력(MoU)를 체결한 이후, 화순고와 처음으로 유의미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점에서 주목된다.화순고등학교는 이번 교육을 계기로 화순 바이오 특화단지와 연계한 제약바이오 산업 맞춤형 인재 육성을 목표로, 전국 유일의 특화 고등학교로 도약하고자 한다. 화순군 내 최대 규모의 공립 인문계 고등학교로서, 향후 행보 역시 주목할 만하다.화순군은 지난해 6월 전국 5곳 유일의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되어, 약 73만 평 규모의 첨단 백신·면역치료 단지 조성을 계획하며 바이오 및 백신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왼쪽부터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본관, mRNA 제조동, 교육관한편,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남도 화순군이 지원하는 ‘백신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을 통해 광주·전남권 최대 규모의 GMP 실습이 가능한 첨단 교육관을 개관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인력 양성에 나선다.해당 교육관에는 미생물 배양부터 정제까지 실습 가능한 50L 배양기, 고압멸균기, 연속원심분리기 등 의약품 생산 설비와 함께, HPLC, LC-MS를 활용한 이화학 분석, 미생물 시험, 환경 모니터링 등 품질관리 실습이 가능한 장비를 갖출 예정이다. 2026년까지 900명 이상 배출을 목표로 하며, WHO ‘글로벌 바이오 화순 캠퍼스’ 운영에도 협력해 국내외 백신 역량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언론사주소약업신문https://www.yakup.com/news/?mode=view&cat=12&cat2=121&cat3=0&nid=314275 전자신문https://www.etnews.com/20250806000064 바이오타임즈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73 한국강사신문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4209 이코노미퀸https://www.quee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9705 민주신문https://www.iminju.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075 위키트리https://www.wikitree.co.kr/articles/1071379 남도매일https://www.namdomail.com/118659 이슈광주전남http://www.issuegj.co.kr/article.php?aid=3228570136 화순투데이https://www.h-stoday.com/45816대한기자협회 광주전남협회http://www.jgkoreaja.com/article.php?aid=1754462232110028022 미디어이슈https://m.mediaissue.net/3067685 화순매일신문https://www.hsmaeil.co.kr/476728

썸네일 이미지

[보도자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 알펙스바이오와 업무협약 체결...'mRNA 의약품 공동개발'

▲(주)알펙스바이오와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로고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는 ㈜알펙스바이오(대표 오종원)와 mRNA 산업에서 의약품 개발 간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에 밝혔다. 이번 협약은 mRNA 원천기술을 활용한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해 양 기관이 보유한 핵심 역량을 결합해 mRNA 기반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마련됐다. 양 기관은 공동 연구개발 과제 기획과 수행을 포함해 mRNA 기반 산업 전반에 걸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협약에 따라 알펙스바이오는 ▲mRNA 및 자가복제 RNA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술 구축 및 평가, ▲mRNA/LNP 공정 확립, ▲신규 제품 플랫폼 개발, ▲국내 mRNA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기업과의 협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센터는 ▲GMP 기반의 mRNA 의약품 공정개발 및 제조 인프라 제공, ▲기술 도입 및 사업화 자문, ▲제품의 원액 및 완제 생산 등 전 주기 지원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 R&D 초기 단계부터 생산까지 연계된 공공 CDMO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왼쪽부터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본관, mRNA제조동,교육관 센터는 기존 제조시설과 신규 mRNA 제조동을 바탕으로 mRNA CDMO 사업 확장을 추진 중이다. 비임상 시료부터 국가 비상 시 대응 가능한 mRNA 백신 공급까지 아우르는 전 생산 시스템을 내년까지 완비할 계획이다. 특히 아이솔레이터(Isolator) 사양의 프리필드시린지 라인도 새롭게 구축되어, 1ml 프리필드시린지 및 2R, 6R 바이알 단위의 완제의약품 생산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사업 범위가 대폭 확장된다. 알펙스바이오는 RNA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감염병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는 바이오기업으로, 독자적인 mRNA 플랫폼 기술과 RNA 바이러스 역유전학 기반의 차세대 백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백신 및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구축 중이며, 비변형 핵산을 이용한 안전성과 효능 향상을 통한 국민 건강 증진을 목표로 연구개발에 앞서고 있다. 한편, 정부는 mRNA 기반의 신규 의약품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다수의 제약사들도 이에 발맞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 사업을 통해 GC녹십자, 유바이오로직스, 한국비엠아이, 레모넥스 등 국내 제약사에 2028년까지 총 5,052억 원을 투자해 mRNA 백신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보유한 전문성과 인프라를 결합해 mRNA 기반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백신 및 치료제의 국내 자급화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 기관의 지속적인 협력이 국내 바이오 생태계의 기술 자립과 글로벌 진출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언론사주소약업신문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11671 전자신문https://www.etnews.com/20250612000074 하이뉴스https://www.hinews.co.kr/view.php?ud=2025061210150838266aa9cc43d0_48 국제뉴스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96753 뉴스워커https://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2507 CNB뉴스https://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731214 매일일보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248372 브릿지경제https://www.viva100.com/article/20250612500667 신아일보https://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6485 한스경제https://www.hans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4756 더페어https://www.thefai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281 투어코리아뉴스https://www.tournews21.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274 벤처스퀘어https://www.venturesquare.net/972673 서울파이낸스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559923뉴시스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612_0003210980 스마트에프엔https://www.smartf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994 베타뉴스https://www.betanews.net/article/view/beta202506120054 불교공뉴스https://www.bzer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14543 화순매일신문https://www.hsmaeil.co.kr/476467 대한기자협회 광주전남협회http://www.jgkoreaja.com/article.php?aid=1749717739106663022 화순중앙신문http://xn—z92b19j2qa92f8vg73x.kr/article.php?aid=930838879 호남미래신문https://honamfuture.com/19404/ 전남타임스https://www.jn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58586 무등뉴스https://www.md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50 톡톡뉴스http://www.newstoktok.com/article.php?aid=20610644630 핀포인트뉴스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1371 메디게이트뉴스https://www.medigatenews.com/news/3625021660 드림투데이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58232 광주매일신문http://www.kjdaily.com/article.php?aid=1750069491658058008

썸네일 이미지

[보도자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 2025년 6월 11일, 센터에 하철규 교무기획처장, 최연식 학생처장 등 방문▲ 업무협약 체결식 진행 사진▲ 업무협약 체결식 진행 사진 2 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는 한국폴리텍대학교 바이오캠퍼스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교육·진로 탐색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바이오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센터와 바이오캠퍼스는 상호 전문성과 인프라를 활용해 실무 중심의 교육 및 현장 실습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주요 협력 분야로는 △시설 및 기자재 공동 활용 △입시·진학 정보 교류 △전문 인력 양성 노하우 공유 △교육과정 연계 및 공동 개발 등에 대한 협력이 포함된다.▲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와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로고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는 국내 유일의 바이오 특성화 캠퍼스로, 바이오배양공정과, 바이오의약분석과, 바이오품질관리과, 바이오나노소재과, 바이오생명정보과 등 5개 바이오 전공 학과를 운영 중이다. 최근 3년간 평균 취업률 88.6%, 대기업 및 중견기업 취업 비율 87.1%, 정규직 취업률 93.6%를 기록하며, 우수한 취업 성과를 입증하고 있다. 특히 졸업생 중 46명이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입사하는 등 국내 바이오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들에 다수의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한편,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남도 화순군이 지원하는 ‘백신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을 통해 2025년 6월 교육관을 개관하며 본격적인 인력 양성에 나선다. 2026년까지 900명 이상의 수료생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의 ‘글로벌 바이오 화순 캠퍼스’ 운영에도 협력하여 지역사회는 물론 전 세계 백신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센터는 특히 오는 2025년 6월 준공 예정인 교육관을 중심으로 광주·전남권 최대 규모의 GMP 실습 교육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산학협력 시의 효과가 기대된다. 교육관은 50L 배양기, 고압멸균기, 연속원심분리기, HPLC, LC-MS 등의 최첨단 장비를 활용한 의약품 생산 및 품질관리 실습이 가능하다. 센터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학생들이 바이오 현장을 가까이에서 경험하고, 나아가 산업을 이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미래를 이끌 주역들을 위해 더욱 밀도 있는 교육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사주소약업신문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11623 핀포인트뉴스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0769 국제뉴스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95552 한국강사신문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0183 바이오타임즈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916 벤처스퀘어https://www.venturesquare.net/972467 금강일보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4626 전자신문https://www.etnews.com/20250611000264 중도일보https://www.joongdo.co.kr/web/view.php?key=20250612010003025 투어코리아뉴스https://www.tournews21.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094 화순글로벌뉴스http://m.hsgnews.kr/article.php?aid=766959073 화순저널http://www.hsjn.co.kr/article.php?aid=1717822952 화순매일신문https://www.hsmaeil.co.kr/476461

썸네일 이미지

[보도자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화순군-광주과학기술원 등 5개 기관과 바이오 인재양성 업무협약 체결

- 전남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사업의 일환...백신과 바이오 인재양성 목표​​▲왼쪽부터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본공장, mRNA제조동,교육관​▲미생물실증지원센터 교육관​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는 화순군, 광주과학기술원, 화순고등학교, 능주고등학교와 함께 전남 지역 바이오 전문 인력 양성과 전남교육발전특구 운영을 목표로 5개 기관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전남교육발전특구 운영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각 기관이 보유한 교육 노하우와 커리큘럼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화순군은 2024년 교육부가 주관하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에 전남권 17개 시·군과 함께 선정된 바 있으며, 이번 협약은 실질적인 교육 커리큘럼 확장을 위해 5개 기관이 협력해 체결한 것이다. 특히 화순군은 지난해 6월 전국 5곳 중 유일하게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되어, 약 73만 평 규모의 첨단 백신·면역치료 단지 조성을 계획하며 바이오 및 백신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가상현실(VR)교육을 하는 모습​한편,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남도 화순군이 지원하는 ‘백신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을 통해 2025년 6월 교육관을 개관하며 본격적인 인력 양성에 나선다. 2026년까지 900명 이상의 수료생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의 ‘글로벌 바이오 화순 캠퍼스’ 운영에도 협력하여 지역사회는 물론 전 세계 백신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2025년 6월 준공 예정인 교육관은 광주·전남권에서 최대 규모의 GMP 실습이 가능한 첨단 시설로, 미생물 배양부터 정제까지 실습 가능한 50L 배양기, 고압멸균기, 연속원심분리기 등 의약품 생산 설비와 함께 HPLC, LC-MS 등을 활용한 이화학 분석, 미생물 시험, 환경 모니터링 등 품질관리 실습이 가능한 장비를 갖출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교육기관과의 협력 범위도 한층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최근 정부는 바이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가바이오위원회 주관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 산업통상자원부의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안’ 등을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기반 조성과 정책 실현을 위해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을 담당할 센터의 향후 행보가 더욱 주목된다.언론사주소전자신문https://www.etnews.com/20250521000067 핀포인트뉴스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5720 한국강사신문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8575 약업신문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10522 바이오타임즈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42 의학신문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9195 뉴스워커https://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0132 데일리한국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221360 아시아에이https://www.asia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306 뉴스워커https://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0503 시민의소리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91396 스마트에프엔https://www.smartf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843 드림투데이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57543